천화문화 기공

치병수단의 구별(治病手段的區別)

자공 우주 2009. 4. 21. 16:16

기공의학 4.  
작성자 : 자(admin)
등록일 : 2009.03.21 [15:36]  
조   회 :

(三). 치병수단의 구별(治病手段的區別)

 

  한의에서 병의 치료수단은 주요로 약을 먹고(吃藥) 침구(針灸), 점혈(點穴), 안마(按摩), 정골(整骨), 첩고약(貼膏藥), 수술(手術), 기공도인(氣功導引)등의 수단이 있다. 서의(西醫)의 치병수단은 한의보다 더 많다. 약을 먹고 침을 맞고 몸에 약을 붙이고 수술 이외에 또 견인(牽引) 리료(理療), 화료(化療), 자료(磁療), 전료(電療), 파쇄(破碎), 심리요법 등이 있다. 한의와 서의의 주요 치료수단은 인체의 오관(五官) 이내의 공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 오관(五官) 이외의 외부의 물질과 공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질병을 치료한다. 이것은 중의 즉 한의와 서의의 병을 치료하는 수단상의 특점이다.

 

        특의(特醫)가 치병 상의 무슨 특징이 있는가?

        특의의 치병 상의 수단에서 기본상 약과 침술, 점혈, 안마, 수술, 리료(理療), 화료(化療) 등 인체 오관(五官)이외의 공구 수단을 빌려서 사용하지 않는다. 인체의 생물 본신의 특이공능(特異功能)과 자신의 심능역량(心能力量)을 사용하여 발공(發功) 즉 기를 발사하여 공태(功態)상에서 상대방이 효과를 보게 하고 환자의 병이 호전되거나 전유(全癒) 즉 완치되는 것이다.

 

        특의(特醫)의 치료 수법에서 몇 개의 층차로 나눈다.

예를 들어 말한다면 천화문화 고급공법 1부공에서 전수하는 신선일파조(神仙一把抓), 마장요법(魔掌療法), 무의거병법(無醫祛病法), 사부님청하기 요법, 또한 고급공법 2부공에서 전수하는 규편팔법(糾偏八法) 등은 특의(特醫) 속에서 초급 층차에 속한다. 특의치료 수단은 모두 약을 쓰지 않고 외부의 물질 사용과 기타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

 

        천화문화 고급공법 2부공에서 전수하는 념력팔절(念力八絶)은 특의(特醫)의 중급 층차의 내용이다.

  념력팔절을 운용하여 병을 치료한다면 그의 손도 사용할 필요 없이 전빙심의(全憑心意), 용공부(用功夫) 즉 념력으로 상대방의병을 치료한다. 특히 종유(種瘤), 종괴(腫塊), 결석(結石), 당뇨병(糖尿病), 고혈압(高血壓), 저혈압(低血壓)과 기타 심인성(心因性) 즉 마음으로 인하여 반영된 유관의 질병들을 념력으로 대다수를 치료할 때 임상효과는 아주 뛰어났다.

 

        천화문화 고급공법 3부공에서는 정력(定力), 혜력(慧力), 영력(靈力)을 사용하여 병을 치료한다.

  예를 들어 말하면 천리치병(千里治病), 공중취약(空中取藥), 병조전이법(病灶轉移法) 즉 병변전이법 등의 치료 수단은 특의(特醫) 중에서의 고층차의 내용이다. 고급공법 3부공 4부공에서 80여 종에 가까운 특의치병 수단을 소개하는데 치병 수단은 갈수록 간단하다. 대도는 무형(大道無形)이고 대도는 자연(大道自然)이라 한다. 방법이 너무 간단하여 사람들이 믿기 힘들고 감탄할 정도이다.

 

        특의(特醫)의 고층차의 치병(治病) 수단은 법력(法力)의 운용이다.

  예를 들어 말하면 분쇄성골절(粉碎性骨折)을 순간에 치유(治癒)하는 것,  또한 기사회생술(起死回生術)을 운용하여 골고두(骨股頭) 부위에 죽어 들어가는 것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등 각종 난치병을 초자연적인 치료 등등이 포함된다. 어떤 념력(念力), 정력(定力) 또는 혜력(慧力), 영력(靈力), 법력(法力)이든 모두 심능력(心能力)의 부동한 층차의 사용이다. 모두다 심능력(心能力)을 사용하여 제세활인(濟世活人) 즉 사람을 살리는 것이다.

        이런 치료 행위의 방식과 효과를 고대에서는 신선술(神仙術)이라 한다. 또는 신의(神醫)라 한다. 실제로 말하면 신의(神醫)는 특이공능(特異功能) 즉 초능력을 의학상의 사용이다. 신(神)과 불(佛)은 모두 사람이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사람마다 신선이 될 수 있고 사람마다 부처가 되는 것이다. 중의 즉 한의는 고대에서는 범인의술(凡人醫術) 즉 보통사람의 의술이라 하였다. 이것이 바로 특의(特醫)와 중의 즉 한의 간의 두 개 의학의 큰 층차 사이의 차이이다.

 

        특의의 수단으로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특이공능 즉 인체 초능력을 이용하는 이외에 또한 병의 원인에 따라 법을 정한다. 즉 기공요법(氣功療法), 념호요법(念號療法), 발원요법(發愿療法), 참회법(懺回法), 기도법(祈導法), 식요법(食療法), 벽식법(辟食法), 정서발설법(情緖發洩法), 감여요법(堪與療法), 점복요법(占卜療法), 상술법(相術法), 풍요법(風療法), 무술법(巫術法), 장요법(場療法), 자연요법(自然療法), 전요법(電療法), 음악요법(音樂療法), 진격요법(震擊療法), 병조전이법(病灶轉移法), 부주법(符呪法) 등이 있다. 치료 방법만 정확하게 선택하였다면 모두 신기한 효과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