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미국의 예일 대학에서 졸업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별한 조사가있었다.
그 조사는 학교를 졸업하기에 앞서 학생들이 얼마나 확고한 삶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조사 결과, 67%의 학생들은 아무런 목표도 설정한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30%의 학생들은 목표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을 글로 적어 두지는 않았다고 대답했다.
오히려 3%의 학생들만이 자신의 목표를 글로 적어 두었다고 대답했다.
20년 후 확인한 결과, 학생시절 자신의 목표를 글로 썼던 3%의 졸업생이
축적해 놓은 재산은, 나머지 97%의 졸업생 전부가 축적한 것보다 훨씬 더 많았다고 한다.
인구의 3% : 성공한 사람, 상류층
10% : 비교적 여유 있는 생활
60% : 겨우 생계
27%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이들 3%는 “글로 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10%는 구체적인 목표는 있으나 글로 쓰지 않았다.
이들 상류층과 중류층은 학력, 재능, 지능면에서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미국인들 중에서 자기의 비전을 글로 쓴 사람이 3%이고
머릿속으로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10% ,
한번도 비전을 생각하지 않은 사람이 27%
약간 생각하다 그만 둔 사람이 60%라고 합니다.
그런데 자신의 비전을 글로 슨 사람들은 자기의 목적한 바를 거의 다 달성했다고 합니다.
두 번째도 달성했지만, 첫 번째 그룹과 두 번째 그룹의 차이는 컸습니다.
그리고 약간 생각하다 그만 둔 사람들은 적당히 살았고,
비전을 한번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늙어서 국가의 보조를 받든지. 불행한 삶을 살았다 고합니다.
비전을 가진 사람은 미래의 이력서를 써봐야 합니다.
|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제는 불교 신도들까지 빨갱이 소리를 듣는 세상... (0) | 2010.12.26 |
---|---|
[스크랩] 박정희 대통령 뇌물 (0) | 2010.08.05 |
坐禪이란? (0) | 2009.04.02 |
버터플라이 사랑 (0) | 2009.03.31 |
900원짜리 因果 (0) | 200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