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훈(庭訓) 정원에서 내린 교훈 정훈(庭訓) <정원에서 내린 교훈>. <가정교육>을 뜻한다. 특히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교훈인데, 공자가 아들 백어(伯魚)가 정원을 지날 때 가르침을 베푼 데서 <정훈>이란 말이 생겼다. 출전은 《논어》 「계씨편(季氏)」편. 庭;뜰 정 訓;가르칠 훈 진항이 백어에게 물었다. 「당신은 선생님의 아들인데, 무슨 별다른 가르침이 있습니까?」 백어가 대답했다. 「아직 없습니다. 한번은 아버님께서 홀로 정원에 서 계실 때, 저는 정원을 지나가고 있었죠. 그때 아버님은<《시경》을 배웠느냐?>고 물었습니다. 나는 <아직 못 배웠습니다>라고 대답했죠. 그러자 아버님이 <《시경》을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하지 못한다>고 하셔서, 저는 물러나와 시경을 배웠습니다. 또 언젠가 아버님은 그날도 정원에 서 계셨습니다. 저 역시 정원을 지나가고 있는데, 아버님이 <예를 배웠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제가 <아직 못 배웠습니다>라고 대답하니, 아버님은 <예를 배우지 않으면 자신을 정립시키지 못하니라>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물러나와 예를 배웠습니다. 제가 아버님에게 들은 것은 이 두 가지입니다.」 진항이 물러 나오면서 기쁜 기색으로 말했다. 「하나를 물어 셋을 얻었구나. 시경을 듣고, 예를 듣고, 또 군자가 그 아들을 멀리함을 들었다.」 |
'좋은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장(助長) (0) | 2007.05.01 |
---|---|
조령모개(朝令暮改) 조조 (0) | 2007.05.01 |
정저와(井底蛙) (0) | 2007.05.01 |
절차탁마(切磋琢磨) (0) | 2007.05.01 |
절전(折箭) (0) | 2007.05.01 |